본문 바로가기

제주사는 서울촌놈

제주도 콩수확모습 제주도에서는 많은 콩들이 생산된다. 그중에 콩나물콩은 전국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곳이 바로 이곳 제주이다. 현재 풍산나물콩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재배 되고 있으며, 크기가 작은 소립종으로 재배 되고 있다. [제주도 콩나물콩의 모습] 현재까지 제주도의 콩 파종방법은 줄뿌림파종이 아닌 손으로 직접 뿌리는 흩뿌림을 대부분으로 한다. 그이유로는 화산섬 이기 때문이다. 제주의 지형은 암반과 자갈이 주로 이루는 토지 이기때문에 육지에서 하는 줄뿌림 파종과법과는 맞지 않는것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이제 우리나라에 가을이 찾아왔다. 큰산들은 저마다 붉은 옷들을 갈입기 시작하는 시기 제주에서는 콩수확이 한창 시작되는 시기이다. [수확을 기다리는 콩나물콩] 콩을 수확하는것은 날씨가 관건이기도 하다. 습하거나 눅눅한 날씨는.. 더보기
제주가뭄을 딛고 다시 시작하는 농부들 2013년 유난히도 뜨거웠던 여름의 제주 이곳의 농부는 작년 태풍3개를 연달아 맞은 만큼의 악몽이 되살아 났다. 6월 중순부터 8월중순 까지 약간의 소나기를 제외하고는 비는 내리지 않았다. 때문에 제주도 최대의 저수지인 어승생저수지에는 물이 확보되지않아 8월초부터 동부중산간 마을 5개소 와 서부중산간 마을 6개소는 격일제 제한 급수를 실시하였다. 전체가구수로는 2300여가구 였지만, 대부분 축산 농가와 농업을 주로 하는 중산간에서는 참으로 애타는 일이다. 출처:디지털전자 문화대전 동부지역에서는 작년에 태풍때문에 실패한 당근을 올해는 실패를 만해해보기위해, 7월 비소식에 모두 중순부터 당근파종을 하였다. 하지만, 올해장마비는 중부지방으로 시작하여 남부로 전혀 내려 오지 않았다. 8월초순 당근이 발아가 되는.. 더보기
제주의 마른 장마 2013년 7월 제주도의 농부들의 마음은 마른장마의 햇빛에 마른풀처럼 노랗게 타들어가고 있다. 제주는 현재 7월내내 비가 거의 오지않고 있다. 이제는 상수원까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기상청 자료와 같이 현재 제주는 한달내내 높은 기온과 햇빛속에서 지내고 있다. 반대로 서울 중부지역으로는 한달내 비와 사투를 버리고 있다고 매스컴을 통해서 전해지고 있다. 7월초 까지는 낮에만 덥고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날씨여서 올해 농사는 풍년을 기대하면서 밭작물을 재배하는 농부들은 모두 열심히 농사일을 했었다. 하지만, 밭을 로터리 작업한 농부들은 아무리 기다려도 장마철인데 비는 오지 않았다. 기다려도 오지않는 비를 보면서 혹시라도 일기예보를 보면서 주간예보에 비소식이라 있으면 다시한번 로터리 작업을 갈고, 또갈고 계.. 더보기
제주도 햇양파 수확 13년도 올해는 그야말로 먹을것의 대란이 일어나고 있다. 상추가 고기값보다 올랐었고, 당근은 사먹을수도 없었다. 제주도에서 햇양파가 나오는 시기인 3,4월 양파가격은 최고가를 찍었다. 평년에 비해서는 약3배, 지난해 보다는 4.5배 비싼 가격이였다. 쉽게 말하자면 1kg 당 2,600원가량에 농가에서 출하되었다. 양파값이 오른이유는 무엇일까? 모든 채소들이 작년 태풍의 여파가 그대로 나타났다. 햇양파의 주산지인 제주도 에서는 재배면적도 작년보다 약10% 줄어든것으로 보고되었다고 한다. 둘째로 육지산 양파가 출하가 늦어지고 있다. 아마도 봄이 없어진 날씨탓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또 정부는 물가를 잡으려고 수입량을 엄청 늘렸다. (약3300톤) 입찰을 통해서 수입을 했지만 시중에 한꺼번에 풀리지 않는듯 하.. 더보기
12년도 타이백감귤...(맨땅 키스~구라미 타이백감귤) 지난번 타이백감귤에 대한 설명은 읽으셨는지요? 타이백이 궁금하면 타이백이란?클릭 올해 타이백이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 하시죠.. 그래서 수확때 모습을 담아 보았습니다. 작년과 같이 아주 탐스럽게 열렸답니다. 주렁주렁 달려진 가지는 힘들게 축쳐서 있네요. 이것이 바로 맨땅 키스~구라미 타이백감귤 입니다. 눈이 내리기 전에 감귤은 수확을 해야해요. 눈이 많이 내려서 감귤에 쌓이게 되면 당도도 떨어지고 부패가 빨리 되거든요. 당연히 물건이 않좋게 되는거죠. 이런물건들은 가격이 엄청 떨어지게 되는데, 구매하실때 너무 싸면 의심해야봐야할 항목입니다. ^^; 오늘은 일손을 돕기로 했기때문에 이른아침부터 서둘러 왔는데.. 또 늦어 버렸네요... 그래도 삼춘이 시내에서 넘어온다고 잘익은 고구마 남겨주셨네요.. (먹고 빢.. 더보기
귤수확 한창인 제주(2012y 11m) - 조생귤 이곳 제주는 연평균 기온이 제일 높고 연교차가 작은 곳이여서 따뜻한 겨울이라는 특색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겨울철 농사가 매우 많다. (감귤, 고구마, 당근, 무우 등) 그중 서귀포지역은 대부분 감귤농사가 주를 이룬다. 이틀동안 품앗이로 간 노지감귤 수확 현장을 소개해 드립니다. 현재 수확중인 감귤은 일반조생 귤 로써 수확시기는 11월 중순 ~ 12월 중순 까지 이며, 초중순쯤 수확후 농가의 창고에 신맛을 빼기위해 10~20일 까지 저장해 놓는다. 이곳은 서귀포 남원읍 신흥리 라는 마을로 감귤이 많이 재배 되는곳중 하나이다. 육지에서는 표선해비치 근처 라고 하는게 더 빨리 알수있을듯 하다. 감귤수확 작업시 인력이 동원되는데, 대부분 직접 가위질을 하는 아주머니 인력이 5~6명이 한조로 움직인다. 거기에 .. 더보기
친환경 인증 2012년 개정판 지난번 유기농이란? 포스팅을 통해서 유기농법개요 과 친환경 농산물 종류와 우리가 물건을 구매할때 보게되는 친환경 마크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2012년 1월부터 개정에 들어간 인증 제도와 기존것과는 어떤 차이로 바뀌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 1.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란?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을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검사하여 정부가 그안전성을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 2. 친환경 농산물이란?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 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합니다. 3. 친환경 농산물 관리 토양과 물은 물론 생육과 수확 .. 더보기
망고이야기(루돌프사슴 농부이야기) 오늘은 망고 이야기를 해볼까해요~ 과일의 여왕으로 불리우는 망고 망고는 우리나라 상품이 아니지 않냐고요? 맞아요.. 틀린말은 아니예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열대과수로 말레이지아, 미얀마, 인도북부 가원산지 입죠. 생산량도 가장 많은곳이구요. 또한 아프리카,브라질,멕시코, 플로리다,캘리포니아,하와이등 열대와 아열대 지방에 많이 분포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너무많은 종이 있기때문에 일일이 다 나열하기 힘들고 제주망고 이야기를 하죠.. ①레드망고 : 왜 이런이름이 부쳐졌는지는 모름. 애플망고의 개량종이고, 길쭉한 모양 이며 저장성이 우수함. ②옥망고 : 애플망고보다는 2배정도 크고 당도도 높음. 푸릇한 색이 남아있을때 수확하는 후숙용 과일이여서, 유통기간이 길다. ③왕망고 : 그냥 큰망고 (옥망고 .. 더보기
[2탄]제주 당근 이야기..[흙당근] 지난번 [1탄]당근이야기[수확시기] 는 나름 많이들 읽어주시고, 전화까지 주셔서 좋은 당근을 소비자들에게 땅에서 바로나온 당근을 보내드리고, 당근의 상태에 대해 다들 호평을 해주셨다. 아마도 건강상 쥬스를 많이들 해드셨다고 들려집니다요.~ - 사계리해안 Stay with Coffee 에 전시된 모습 이번에는 당근이 길러지는 흙이야기를 들려드릴까 합니다... 처음 제주에서 당근을 시작한곳. 평대리.. 이곳에서 당근이 자라온지 약 40년 가까이 된답니다. 지금은 이곳에서 시작되서, 김녕, 세화, 성산 까지도 밭이 넓어지고 있답니다. 제주 구좌향당근 이름이 널리 퍼지기 시작하면서 부터지요.. 우리는 모두 흙에서 나고 흙으로 돌아간다고 할만큼... 가장 인간이나 동물에게 있어서 흙은 .. 더보기
타이백 감귤 이란? 2012년도 타이백은 여기!쿡! 또다른 감귤 이야기에 이어서, 이번엔 같은 품종인 조생 감귤을 다른 농법으로 만들어서 고부가가치를 올리는 타이백 감귤에 대해서 설명해보려합니다용~ 타이백 이란? 1. 건축 타이백 공법 건축물 구조시 쓰이는 어스앵커법을 타이백공법으로 불리운다.... 여기까지... 이이상은 여러분에게 나또한 이해가 힘듭니다..ㅋㅋ 건축물구조 올릴때 땅을파서 지하로 들어가죠.. 그때 H빔을 박고 나무로 막는걸 보셨을거예요... 흙막음 공법중에 하나인 이공법으로 건물이 생기는 거죠..ㅎ 여기까지도 힘드시죠. 2. 건축물 외장의 타이백 공법 건물의 외부를 둘러싸듯이 감싸는것으로, 외부의 습기로 부터 집을 보호하는 역활을함 또한, 내부의 습기는 방출하는 기능이 있어 항상 쾌적한 실내를 유지하게 해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