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안트레 썸네일형 리스트형 당근일지#2 검질작업 지난 가뭄의 후유증으로 작업일지 포스팅도 점점 늦어지고 있네... 때는 7월중순 가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 이제는 발빠른 사람들은 당근을 재배하기 시작할시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6월말부터 이상하게 비가오지 않고 있고 장마철인데 비가 오지않는다. "이상하다..이상해" 일단 우리는 파종전에 할일이 많으니 검질(잡초)부터 합시다요~ 오호~ 날씨가 올해(2013년) 무척 더우니, 잡초들이 제대로 자라질 못하네요. 특별한 당근재배를 위해서 하우스에 태양열소독 을위해서 내부온도를 많이 높여 놓았더니... 일감이 줄었어.. 물이 닿은곳만 풀이 나잖아요.. 행님.. 좀 여기 턱으로 막아야 할것 같은데... 일은 안하고... 언능 풀안뽑냐 !! 짜짠... 이제 됬쥬~ 해떴어요.. 언능 나갑시다... 여기서 일하다간 쓰러.. 더보기 13년도 노형동민 단합대회 제주의 추석한가위 우리나라의 대표적 명절 가운데 하나로 음력 8월 15일.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제주시 노형동은 예전에는 모두 농사를 짓는곳이였지만, 현재는 도시화 발전이 가장 많이 된곳이기도 하다. 현재21회를 맞는 행사는 마을회장단은 어렵게 살지만 이웃간에 정을 나누고 명절때 먹을것을 나누어 먹자는 취지로 현노형동의 6개의 자생단체마을을 을 모았다. 그렇게 매년 추석 다음날이 되면, 6개부락의 온동민들이 단합대회 운동회를 갖는다. 행사는 동사무소와 지역 청년단체가 주관이 되어 이웃간 훈훈하고 살맛나는 문화를 조성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더보기 제주가뭄을 딛고 다시 시작하는 농부들 2013년 유난히도 뜨거웠던 여름의 제주 이곳의 농부는 작년 태풍3개를 연달아 맞은 만큼의 악몽이 되살아 났다. 6월 중순부터 8월중순 까지 약간의 소나기를 제외하고는 비는 내리지 않았다. 때문에 제주도 최대의 저수지인 어승생저수지에는 물이 확보되지않아 8월초부터 동부중산간 마을 5개소 와 서부중산간 마을 6개소는 격일제 제한 급수를 실시하였다. 전체가구수로는 2300여가구 였지만, 대부분 축산 농가와 농업을 주로 하는 중산간에서는 참으로 애타는 일이다. 출처:디지털전자 문화대전 동부지역에서는 작년에 태풍때문에 실패한 당근을 올해는 실패를 만해해보기위해, 7월 비소식에 모두 중순부터 당근파종을 하였다. 하지만, 올해장마비는 중부지방으로 시작하여 남부로 전혀 내려 오지 않았다. 8월초순 당근이 발아가 되는.. 더보기 제주의 음식4 - 밀면 제주의 한여름은 몹시도 뜨겁다. 푸르고 청명한 높은 하늘에서 태양볕이 내리쬐는 한낮 밭 일을 하다보면 금새 땀으로 뒤범벅이 되어버리고 만다. 시원한 음식이 간절히 생각나는 시간이기도 하다. 육지에서는 냉면을 먹겠지만, 이곳 섬 제주에서는 제대로 된 냉면을 만나기는 힘들다. 이곳 제주는 한여름에는 주로 물회 나 밀면을 먹는다. 엄밀히 따지면 밀면의 제주의 전통음식은 아니다. 하지만, 제주의 모습으로 변형시켜 독특한 제주방식의 밀면으로 만들어 졌기에 제주의 여름 음식으로 소개되어도 무방할듯하다. 밀면을 역사적으로 보자면, 한국전쟁때로 거슬러 올라가야한다. 한국전쟁이 나기전 각지역별로 나오는 재료에 맞게 냉면들이 존재 하였다. 전쟁중 많은 이들이 부산으로 피난을 내려오게된다. 이중 북쪽에서 피난내려온 이들은 .. 더보기 13년도 추석선물셋트 (수산물)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제주의 수산물 중 특히 갈치가 어획량 감소로 인하여 수매 단가가 많이 인상 되었습니다. 작년추석 에는 갈치을 위주로 상품을 구성하였으나, 올해는 갈치와 참조기 등등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갈치 550g 이상이 비싸졌으니, 잘보시고 옥돔과 참조기등 위주로 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추석 배송은 12~13 일 정도가 마지막으로 제주에서 출발할것 같습니다. 그이후에는 택배가 도착시기를 장담 할수가 없기때문에 그렇습니다. 제주도에서는 명절때 택배로 출하되는 물량이 엄청 나답니다. ^^;; 천천히 둘러 보세요~~ 더보기 당근일지 #1 또다른 시작 2013년도 현재 이제 당근 파종 준비를 해야할 시기이다. 작년도 태풍으로 제주의 구좌의 거의 모든 당근재배 농가는 태풍의 피해를 입어, 재파종을 한 농가들도 많았지만, 좋은 상품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는 결국 당근재배를 포기했었다. 7월초인 현재 다시금 좋은 당근을 재배 하기 위해서 비료 작업과 하우스 정리 작업을 시작한다. 하우스 재배지 내 창고가 그간 농부의 마음 처럼 복잡하게 되어버렸네. 당근이 주소득원 이였던 당근형님의 마음같이 참으로 어지럽구나.. 짜짠~ 이제야 깨끗해 졌다~ 이제 손님이 와도 차라도 마실 자리도 만들고.. 참, 농장에 새로 들어온 친구가 있다. 바로바로... 저온창고형 냉장고 작년 가을에 만들어 졌는데 원래는 올해 당근들이 들어가 .. 더보기 제주의 마른 장마 2013년 7월 제주도의 농부들의 마음은 마른장마의 햇빛에 마른풀처럼 노랗게 타들어가고 있다. 제주는 현재 7월내내 비가 거의 오지않고 있다. 이제는 상수원까지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기상청 자료와 같이 현재 제주는 한달내내 높은 기온과 햇빛속에서 지내고 있다. 반대로 서울 중부지역으로는 한달내 비와 사투를 버리고 있다고 매스컴을 통해서 전해지고 있다. 7월초 까지는 낮에만 덥고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날씨여서 올해 농사는 풍년을 기대하면서 밭작물을 재배하는 농부들은 모두 열심히 농사일을 했었다. 하지만, 밭을 로터리 작업한 농부들은 아무리 기다려도 장마철인데 비는 오지 않았다. 기다려도 오지않는 비를 보면서 혹시라도 일기예보를 보면서 주간예보에 비소식이라 있으면 다시한번 로터리 작업을 갈고, 또갈고 계.. 더보기 13년도 신규농업인 밭작물재배기초교육 -2 지난번 포스팅된 제주의 [신규농업인 밭작물재배 기초교육] 이 지난 4월부터 시작하여 7월 중순 교육을 모두 완료하게 되었다. 그동안 농사에 필요한 기초지식들과 노하우 들을 전수 받기에는 짧은 시간이였지만, 주변에 다른 귀농/귀촌 하는 이들이 많음을 알고 서로 도울수 있는 방법을 찾기에는 좋은시간이였다고 한다. 처음 이론교육 때에는 생소한 단어로 간혹 강사들을 당혹 스럽게 만들던 교육생들도 이젠 어느덧 농민이 되어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묘종으로 심었던 밭작물들이 어느덧 신규 농업인들 만큼이나 쑥쑥 자라나 있다. 금일 교육완료와 함께 그동안 작물인 단호박, 수박, 고추, 옥수수, 토마토 를 수확하면서 신규 농업인들은 수확의 기쁨을 몸으로 느끼고 있다. 3~4개월 동안의 교육을 모두 맞치고, 이젠 그들만의 .. 더보기 13년도 화산섬 블루베리 탄생 [13y 블루베리] 1. 원산지 : 제주 서귀포 (제주도 서쪽지역)2. 상품명 : 블루베리 3. 시 기 : 2013년도 6월 중순 ~ 9월4. 내 용 : 제주 화산섬 에서 재배된 블루베리 입니다. 온실에서 재배된 상품으로 일반 노지재배 보다 상품성이 우수합니다. 생과기준으로 판매 됩니다. 받으신후 냉장보관 하시고 생과 이므로 얼리지 마시고 쥬스외 기타 방법으로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생과는 유통기간이 짧기때문에 빨리 드시면 좋습니다. 1년중 블루베리 생과는 2~3개월 밖에 드실수가 없습니다.5. 판매가 : 1k \40,000 택배비 포함 .. 더보기 13년도 신규농업인 밭작물재배기초교육 2010년 부터 제주의 귀농/귀촌 바람이 불기시작하더니, 현재 13년도 까지 그바람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로인해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은 매년 바쁜 한해를 보내고 있다고 한다. 귀농귀촌교육을 수료한 신규 농업인을 대상으로 밭작물 재배기초 교육이 4월 22일 ~7월 12일 까지 7회 교육이 실시 되고있다. 현재 5월말일까지 4회차 교육이 완료 되었고 아직도 신규농업인들은 열강중이다. 이번교육은 이론 / 실습위주의 교육으로 진행되어 지고 첫회 교육때 모두 함께 작물을 심어 교육수료시 수확의 기쁨도 누리도록 프로그램 되어있다. 설명을 들으며 비닐 멀칭, 분수호수, 터널작업 외 옥수수, 고추, 단호박, 수박, 하우스 토마토 를 실제로 심어보고있다. 그동안 쳐놓았던 터널들도 거두어내고, 수박과 단호박 을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